웹툰 세자매 줄거리 1화 ~ 59화 연재중..

심장질환과 예방법

긴 겨울이 지나고 기온이 점점 오르고 있는 요즘, 움츠렸던 몸과 신장들의 긴장이 풀리면서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기 쉽답니다. 막바지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고 일교차가 커져서 심장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데요,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서 국내 사망원인 2위를 기록할 정도로 우리 가까이에 있는 병인데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0년 사이에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인구가 41%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에서 크게 증가했구요,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 내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에 이상이 오는 것을 말해요. 혈관이 완전히 막혀 심장근육이 정지하는 것을 '심근경색'이라고 하구요, 혈관이 좁아져서 심장에 통증을 느끼는 것이 바로 '협심증'이라 부릅니다. 



두가지 병명모두 우리가 흔히 들어온 병으로 우리 몸에서 일어날경우 치명적인 내상 또는 사망에 이릅니다. 심근경색과 협심증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은,



심근경색

급성심근경색이 생기면 가슴에 강한 통증을 느끼며 그 통증이 30분이상 지속됩니다. 어지럼증이나 호흡곤란, 실신등을 유발하기도 하죠. 1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급성심장사'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외에도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위식도 역류질환, 가슴의 근육이나 인대 등에서 흉벽증후군에 의해 통증이 별생하는 경우,늑막염이나 기흉 같은 폐질환 등에서도 가슴통증이 발생할 수 있어요. 따라서 가슴 통증을 유발시키는 질환은 여러가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을 느낀다면 중대형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즉시 받아봐야 합니다.



협심증

협심증은 몸에 급격한 움직임이 일어날 때 일어나기 쉬운데요, 빠르게 걷거나 언덕을 오를때가 그런 경우가 되죠.가슴에 통증이 발생하고 10~20분 정도 휴식을 하면 보통 가라앉습니다. 가슴이 답답하거나 쥐어짜는듯한 통증이동반되고 때에 따라 타는 듯한 통증을 느낄수도 있습니다. 
또한 목이나 턱,어깨로 통증이 번지기도 하죠.

가슴 통증이 일정한 주기로 나타난다거나 심해진다고 느낄때는 급성심근경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고불안전협심증이 의심되므로 빨리 병원을 방문해 진찰을 받아보셔야 해요.



급성심근경색이 의심될경우 혈액의 심근 효소검사와 심전도 검사, 심장초음파를 필수적으로 실시하게 되며 관상동맥조영술로 확진하게 되요. 그리고 협심증은 운동부하검사, 심장 컴퓨터단층촬영, 핵의학 단층촬영으로 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관상동맥조영술이란 사타구니의 대퇴동맥이나 손목의 동맥을 통해 얖은 도관을 삽입하여 심장혈관에
조영제를 주사하여 혈관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심근경색의 경우 스턴트 삽입술이나 풍선확장술 등과 같은 시술로 혈관을 뚫고 심할 경우 개흉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협심증의 경우에도 약물이나 개흉수술을 시행하고 스턴트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가족력이나 운동부족, 스트레스등이 협심증과 급성심근경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그 밖에도 흡연, 고지혈증,고령 등 여러가지 이유가 원인이 될 수 있답니다. 두가지 질병뿐만 아니라 뇌경색이나 말초혈관질환등의 질환은이런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에 의해 촉진될 수 있습니다.


일단 가장 즉시 시행할 수 있는건 바로 금연을 꼽을 수 있어요. 젊은 나이에 이런 심혈관질환이 나타나는 경우는대부분 그 원인이 흡연이라고 합니다. 
건강한 삶을 원한다면 지금당장 금연부터 실천하는게 좋답니다.
또한 성인병으로 불리는 고혈압이나 당요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보통 이런 질환은가족력을 동반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다면 미리 검사하고 예방해두는 것이 좋아요.
스트레스 또한 최대한 덜 받도록 하는 평소 생활습관을 기르고 채식을 하는것이 심혈관질환에 도움이 된답니다.

댓글